반응형

레이드 구성

NAS 서버 스토리지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정리

 

레이드란
> 물리적인 여러개의 디스크를 묶어 하나의 논리적인 디스크처럼 사용

raid 구성 방식 최소 디스크 장점 단점 용량
raid0 striping 2 전체 디스크를 사용 하나 디스크가 고장나면 전체 오류 디스크 * 용량
raid1 mirroring 2 안정성이 높다 비용이 비싸며 write 성능이 낮음 디스크 / 2
raid5 striping & parity 3 패러티 정보를 사용하여 성능 향상 및 안정성 확보 디스크 고장시 복구 속도 저하
2개 이상의 디스크 고장시 복구 어려움
디스크 - 1
raid6 striping & double parity 4 2개 디스크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 비용이 비싸며 계산비용이 많이 듬 디스크 - 2
raid10 striping & mirroring 4 안정성 및 속도 향상 비용 많이 듬 디스크 / 2

 

striping 방식 : 데이터를 나누어 균등 분산 저장

mirroring 방식 : 디스크에 N개로 복제하여 저장

 

시놀로지에서 제공하는 Raid 계산기
https://www.synology.com/ko-kr/support/RAID_calculator

반응형
반응형

Git에서 자주 사용하는 Command 및 용어 정리

 

Git은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 두 저장소를 이용하여 작업한다.

원격(remote) 저장소 : Git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로컬(local) 저장소 : 원격저장소에서 다운로드 받은 개인 저장 데이터

branch : git 저장소 생성 시 main(master) branch가 생성되며 해당 branch를 기준으로 분기처리를 한다.

staging : commit 하기전 저장상태

.gitignore : git에서 변경사항 추적 제외 및 원격에 반영되지 않는 예외 파일을 설정하는 config 파일

 

1. Git Clone : git 원격 저장소를 복사한다
    사용법 : git clone [git clone url]

 

2. Git push : git 원격 저장소에 커밋내용을 푸시(반영)한다

 

3. Git pull : git 원격 저장소에 있는 내용을 pull(최신화) 받는다.

 

4. Git add : git 로컬에서 변경된 파일들을 staging에 추가한다.

 

5. Git commit : add 된 파일들을 커밋 상태로 변경한다.

 

6. Git status : 현재 로컬 git 저장소의 상태를 보여준다

 

7. Git checkout : branch를 변경할 때 사용한다.

반응형
반응형

.net(dotnet) 버전 설명 및 비교

 

구현 포함된 버전
.NET .NET Core 1.0~3.1 / .NET 5 이상 버전의 .NET
.NET Framework .NET Framework 1.0 ~ 4.8

 

.NET 사용하는 경우

  • 플랫폼(windows / mac os / Linux 등등) 간 요구 사항이 있습니다.
  • 마이크로 서비스를 대상으로 합니다.
  • Docker 컨테이너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고성능 및 확장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 .NET 버전이 애플리케이션별로 함께 필요합니다.

 

.NET Framework 사용하는 경우

  • 앱이 현재 .NET Framework를 사용합니다(마이그레이션하는 대신 확장 권장).
  • 앱이 .NET에 사용할 수 없는 타사 라이브러리 또는 NuGet 패키지를 사용합니다.
  • 앱이 .NET에 사용할 수 없는 .NET Framework 기술을 사용합니다.
  • 앱이 .NET을 지원하지 않는 플랫폼을 사용합니다.

 

참고 문서 : https://learn.microsoft.com/ko-kr/dotnet/standard/choosing-core-framework-serve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