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설명

초 단위로 기록된 주식가격이 담긴 배열 pri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가격이 떨어지지 않은 기간은 몇 초인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 prices의 각 가격은 1 이상 1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prices의 길이는 2 이상 100,000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

pricesreturn

[1, 2, 3, 2, 3] [4, 3, 1, 1, 0]

입출력 예 설명

  • 1초 시점의 ₩1은 끝까지 가격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 2초 시점의 ₩2은 끝까지 가격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 3초 시점의 ₩3은 1초뒤에 가격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1초간 가격이 떨어지지 않은 것으로 봅니다.
  • 4초 시점의 ₩2은 1초간 가격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 5초 시점의 ₩3은 0초간 가격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 공지 - 2019년 2월 28일 지문이 리뉴얼되었습니다.

 

def solution(prices):
    answer = [0] * len(prices)
    for i in range(len(prices)-1):
        for k in range(i,len(prices)-1):
            if prices[i] > prices[k]:
                break
            else:
                answer[i] += 1
    return answer

 

시점의 가격과 시점 이후의 가격을 비교하면서 시간을 늘려주고 해당 시간을 정답 배열에 담는다.

반응형
반응형

문제 설명

선행 스킬이란 어떤 스킬을 배우기 전에 먼저 배워야 하는 스킬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선행 스킬 순서가 스파크 → 라이트닝 볼트 → 썬더일때, 썬더를 배우려면 먼저 라이트닝 볼트를 배워야 하고, 라이트닝 볼트를 배우려면 먼저 스파크를 배워야 합니다.

위 순서에 없는 다른 스킬(힐링 등)은 순서에 상관없이 배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파크 → 힐링 → 라이트닝 볼트 → 썬더와 같은 스킬트리는 가능하지만, 썬더 → 스파크나 라이트닝 볼트 → 스파크 → 힐링 → 썬더와 같은 스킬트리는 불가능합니다.

선행 스킬 순서 skill과 유저들이 만든 스킬트리1를 담은 배열 skill_tre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가능한 스킬트리 개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 스킬은 알파벳 대문자로 표기하며, 모든 문자열은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스킬 순서와 스킬트리는 문자열로 표기합니다.
    • 예를 들어, C → B → D 라면 CBD로 표기합니다
  • 선행 스킬 순서 skill의 길이는 1 이상 26 이하이며, 스킬은 중복해 주어지지 않습니다.
  • skill_trees는 길이 1 이상 20 이하인 배열입니다.
  • skill_trees의 원소는 스킬을 나타내는 문자열입니다.
    • skill_trees의 원소는 길이가 2 이상 26 이하인 문자열이며, 스킬이 중복해 주어지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skillskill_treesreturn

"CBD" ["BACDE", "CBADF", "AECB", "BDA"] 2

입출력 예 설명

  • BACDE: B 스킬을 배우기 전에 C 스킬을 먼저 배워야 합니다. 불가능한 스킬트립니다.
  • CBADF: 가능한 스킬트리입니다.
  • AECB: 가능한 스킬트리입니다.
  • BDA: B 스킬을 배우기 전에 C 스킬을 먼저 배워야 합니다. 불가능한 스킬트리입니다.

 

def solution(skill, skill_trees):
    answer = 0
    al = list(skill)
    for a in skill_trees:
        bl = []
        for b in range(len(al)):
            if a.find(al[b]) == -1:
                bl.append(30)
            else:
                bl.append(a.find(al[b]))
        if sorted(bl) == bl:
            answer += 1
    return answer

 

문제 풀이

1. skill을 리스트에 담아서 각 스킬의 위치를 찾는다.

2. 만약 스킬이 없으면 스킬 길이의 제한값인 26보다 큰 수로 넣어준다.

3. 해당 스킬 순서의 배열이 정렬되어 있으면 가능한 스킬트리 정렬이 안되어 있으면 불가능한 스킬트리이다.

반응형
반응형

Context Switching 이란?

 

 - 병렬처리를 위한 Job Scheduling

 - Running 상태의 Task가 사용하던 Context를 메모리 특정 영역에 저장한 후 새로이 수행 될 Task의 Context를 TCB또     는 Stack에서 CPU의 레지스터 영역으로 복사하여 새로운 Task가 수행되도록 하는 일련의 작업

 - LIFO, FIFO, RR 등..

 - Context는 CPU가 사용하는 레지스터들의 값

 

 

멀티프로세스 환경에서 CPU가 어떤 하나의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인터럽트 요청에 의해 다음 우선 순위의 프로세스가 실행되어야 할 때 기존의 프로세스의 상태 또는 레지스터 값(Context)을 저장하고 CPU가 다음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새로운 프로세스의 상태 또는 레지스터 값(Context)를 교체하는 작업을 Context Switch(Context Switching)라고 한다.

 

 

Context는 무엇인가?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사용자와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 장소, 개체등의 현재 상황(상태)을 규정하는 정보들을 말한다.

android나 servlet등에서도 context가 있지만 OS에서 Context는 CPU가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해당 프로세스의 정보들이다.

 Context는 프로세스의 PCB(Process Control Block)에 저장된다.

그래서 Context Switching 때 PCB의 정보를 읽어(적재) CPU가 전에 프로세스가 일을 하던거에 이어서 수행이 가능한 것이다.

PCB의 저장정보

- 프로세스 상태 : 생성, 준비, 수행, 대기, 중지

- 프로그램 카운터 : 프로세스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 주소

- 레지스터 : 누산기, 스택, 색인 레지스터

- 프로세스 번호

* 참고로 Context Switching 때 해당 CPU는 아무런 일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컨텍스트 스위칭이 잦아지면 오히려 오버헤드가 발생해 효율(성능)이 떨어진다.

Context가 뭔지 알았고 멀티프로세싱하기 위해 CPU를 나눠서 사용하기 위해 Context를 교체하는 것이 Context Switching임을 알았다. 그리고 PCB에 Context가 저장됨도 알았다.

남은 것은 인터럽트 요청이 뭐고 어떤 종류가 있는지 + 서브로 우선 순위에 대한 이야기다.

 

 

Context Switching - 인터럽트(Interrupt)

인터럽트는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때 실행중인 프로그램 밖에서 예외 상황이 발생하여 처리가 필요한 경우 CPU에게 알려 예외 상황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어떤 인터럽트 요청이 와야 Context Switching이 일어날까?

1. I/O request (입출력 요청할 때)

2. time slice expired (CPU 사용시간이 만료 되었을 때)

3. fork a child (자식 프로세스를 만들 때)

4. wait for an interrupt (인터럽트 처리를 기다릴 때)



출처: https://jeong-pro.tistory.com/93 [기본기를 쌓는 정아마추어 코딩블로그]

 

반응형
반응형

매월 마지막날 출력 쿼리

 

DECLARE @v_YMD CHAR(8)
DECLARE @v_tmp CHAR(8)

SET @v_YMD = '20180201'

WHILE @v_YMD <= '20190601' BEGIN
set @v_tmp = CONVERT(CHAR(8),Dateadd(day, -1, @v_YMD),112)
print @v_tmp
SET @v_YMD = CONVERT(Char(8), DateAdd(month, 1, @v_YMD), 112)
END

반응형

'Database > SQL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SQL] 테이블 명세서 쿼리 / SP 명세서  (0) 2022.08.04
트랜잭션 격리수준과 with(nolock) 힌트  (0) 2019.04.29
B-TREE 구조  (0) 2018.11.15
SQL 실행계획  (0) 2018.11.12
[MSSQL] Table Column 속성 변경  (0) 2018.06.25
반응형

C/C++ 에서 소켓통신을 하기 위해 패킷을 구조체로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선언하여 사용한다.

struct _Socket
{
    int Size;
    char text[50];
} Socket;

해당 구조체로 패킷을 정의하면 패킷의 크기는 어떻게 될까?

int 자료형은 4바이트, char 자료형은 1바이트지만 배열로 선언하여 50 바이트가 된다.

두 값을 더하면 54가 나와야 하지만 sizeof(Socket); 결과는 56바이트가 된다.

왜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것일까?

먼저 정답은 패딩비트에 의해 56바이트가 나오게 된다.

대부분의 컴파일러는 CPU가 접근하기 쉬운 위치에 필드를 배치한다. 그러다보니 중간에 빈 공간이 들어가는데 위 예시에서는 2바이트가 추가로 들어가게 된 것이다.

이렇게 추가된 2바이트를 패딩 비트라고 한다.

32bit CPU는 메모리에서 값을 읽어올 때 한번에 4byte(32bit)를 읽어 오고 64bit CPU는 한번에 8byte(64bit)를 읽어온다

 

그러면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뭐가 있는지 찾아보니 아래와 같이 구조체를 선언하면 패딩비트가 생성되지 않는다.

#pragma pack(1)
struct _Socket
{
  int Size;
  char text[50];
} Socket;
#pragma pack(pop)

위와 같이 선언한 구조체의 크기를 출력해보면 sizeof(Socket)의 결과가 54가 나오게 된다.

#pragma pack(1)이 뜻하는 바는 구조체에서 가장 큰 바이트로 변수의 크기가 설정되는데 해당 설정을 1바이트로 변경한다는 뜻이다. #pragma pack(pop)을 통해 원래 정렬된 값(4바이트)으로 돌아가게 된다.

#pragma pack(1)과 #pragma pack(pop) 사이에 선언된 모든 구조체에 해당 설정이 적용 된다.

 

#참고 사이트 : https://pangate.com/19

반응형

'프로그래밍 > C/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숫자만 입력받기 예제  (0) 2017.04.24
[C++] STL(Standard Template Library)  (0) 2017.04.17
반응형

SELECT 문 사용할 때 with(nolock)를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with(nolock)을 사용하는 이유는 트랜잭션 격리성 때문인데 해당 내용에 대해 정리 글

 

Transaction Isolation Level(트랜잭션 격리 수준)이란?

  - A 트랜잭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다른 B 트랜잭션의 접근 권한에 대한 수준을 이야기 합니다.

  - 트랜잭션 격리 수준 단계가 높아질수록 격리 수준이 높아지며 데이터 일관성은 높아지지만 동시성은 저하 됩니다.

 

Transaction Isolation 관련 문제점

  - Dirty Read : 커밋되지 않은 데이터를 읽어 해당 트랜잭션이 롤백 되면 오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문제점

  - Non-Repeatable Read : 한 트랜잭션이 반복하여 Read 중일 때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하여 데이터를 변경하여 커밋하여도 커밋된 결과가 반영 되지 않는 문제점

  - Phantom Read : 한 트랜잭션 안에서 일정 범위 레코드를 두번 이상 읽을 때, 첫번째 쿼리에서 없던 레코드가 두번째 쿼리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Transaction Isolation Level 단계

 

  1. Read Uncommitted

 

        - 트랜잭션 실행 중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 가능(트랜잭션이 격리되지 않음)

        - A트랜잭션이 데이터를 변경 중 일 때 B트랜잭션이 접근하여 커밋되기전 변경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음.

        - 만약 커밋되지 않고 A트랜잭션이 롤백되면 B트랜잭션의 결과값은 잘못된 데이터가 됨(Dirty Read 발생)

        - Non-Repeatable Read 발생 가능

        - Phantom Read 발생 가능

 

  2.  Read Committed

 

        - 커밋되기 전 바뀐 데이터를 읽을 수 없음.(Dirty Read 발생 X)

        - Non-Repeatable Read 발생 가능

        - Phantom Read 발생 가능

 

  3.  Repeatable Read

        - 항상 한 트랜잭션의 일관성 있는 데이터 읽기를 보장(Dirty Read, Non-Repeatable Read 발생 X)

        - A트랜잭션 실행 중 B 트랜잭션에서 Insert가 발생 후 동일 조건의 Select문의 A트랜잭션과 B트랜잭션의 결과가 달라짐(Phantom Read 발생)

        - A트랜잭션이 실행 중일 때 다른 트랜잭션이 DB의 내용을 변경해도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Serializable

        - 가장 높은 격리 수준

        - 트랜잭션이 완료될 때까지 Select 문장이 사용하는 모든 데이터에 Shared Lock이 걸리므로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 불가

        - Dirty Read, Non-Repeatable Read, Phantom Read 모두 발생 안함.

 

위 내용을 아래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Dirty Read

Non-Repeatable Read

Phantom Read

Read Uncommitted

O

O

O

Read Committed

X

O

O

Repeatable Read

X

X

O

Serializable

X

X

X

 

* DB별 Default isolation

 

DB

Default isolation

MSSQL

Read Committed

MYSQL

Repeatable Read

ORACLE

Read Committed

 

격리 수준과 with(nolock) 힌트의 관계

    -    With(nolock)힌트는 격리성 제한이 걸린 DataBase Read Uncommitted를 허용한다.(격리성 관련 문제점 발생)

    -    격리성 제약조건 있는 DB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확인할 때 주로 사용한다.

    -    데드락이나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     Rollback이 될 수 있는 데이터까지 읽기 때문에 데이터 일관성은 저하된다.

 

*with(nolock)과 유사한 with(readuncommitted)힌트도 있습니다~!

 

*본문에 사용된 이미지 출처 : https://lng1982.tistory.com/287

반응형

'Database > SQL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SQL] 테이블 명세서 쿼리 / SP 명세서  (0) 2022.08.04
SQL 매월 마지막일 출력  (0) 2019.06.20
B-TREE 구조  (0) 2018.11.15
SQL 실행계획  (0) 2018.11.12
[MSSQL] Table Column 속성 변경  (0) 2018.06.25
반응형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위해 라이브러리 및 계산하기 편한 언어는 Octave, Matlab, Python, Numpy, R 등이 있습니다. 그 중 Octave는 오픈소스이며 무료로 사용가능하고 Python, Numpy, R 보다 생산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언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Octave를 이용해 기계학습 프로토 모델을 생성하여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 Octave 다운로드 주소 : https://www.gnu.org/software/octave/download.html

 

Octave로 프로토 타입을 만들어 본 후 해당 알고리즘을 C++, Java로 새로 코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SubnetMask?

  • NetMask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나누는걸 Subnetting이라 하며 네트워크를 합치는게 Supernetting이라 한다.
  • Subnet Mask는 IP 주소 체계의 네트워크ID와 호스트ID를 넷마스크를 통해 변경하여 네트워크 영역을 분리하는 것이다.
  • Subnet Mask를 이용하여 호스트ID를 네트워크ID로 변환(Subnetting) 가능하고, 반대의 경우(Supernetting) 역시 가능하다.

Subnetting

  • Subnet Mask는 IP주소와 동일하게 32bit의 2진수로 되어 있다. /25 숫자는 연속 1bit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 1과 0은 연속적이야 하며 중간에 섞일 수 없습니다. Ex) 1111111.11011111.11111111.00000000 불가

 

  • /25 Subnet Mask 25bit라는 의미로 255.255.255.128이라는 의미를 가진다그러면 호스트ID에 할당할수 있는 범위가 [0~127], [128~255]가 되며 네트워크가 2개로 나눠지게 된다
  • /26 255.255.255.196가 되며 할당받을 수 있는 호스트는 [0~63], [64~127], [128~191], [192~255]가 되며 네트워크가 4개로 나눠지게 된다.
  • 따라서 하나의 bit를 가져올 때 마다 네트워크 크기는 2배로 증가하며 할당할 수 있는 호스트 수는 2로 나눠지게 된다.

 

194.139.10.0/26

194.139.10.0/26

Network Address

194.139.10.1 ~ 194.139.10.62

Host IP

194. 139.10.63

Broadcast Address

194.139.10.64/26

194.139.10.64/26

Network Address

194.139.10.65 ~ 194.139.10.126

Host IP

194. 139.10.127

Broadcast Address

194.139.10.128/26

194.139.10.128/26

Network Address

194.139.10.129 ~ 194.139.10.190

Host IP

194. 139.10.191

Broadcast Address

194.139.10.192/26

194.139.10.192/26

Network Address

194.139.10.193 ~ 194.139.10.254

Host IP

194. 139.10.255

Broadcast Address

 

<C Class Subnet Mask 참고 자료>

 

 

* 참고 사이트 : http://korean-daeddo.blogspot.com/2016/01/blog-post_26.html

 

서브넷 마스크와 서브넷팅 계산법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서브넷팅을 하는 이유와 계산법을 알려줍니다.

korean-daeddo.blogspot.com

 

 

반응형
반응형

기계 학습 알고리즘 (Machine Learning Algorithm)

 

기계 학습 알고리즘으로 크게 두가지로 분류 되지만 두개의 특성을 합친 학습법을 포함해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기계 학습은 experience E 와 respect to some task T 그리고 some performance measure P로 학습 및 성능 측정을 한다.

 

E : 학습할 데이터

T : 실제 데이터

P : E로 학습한 모델을 T로 측정한 성능

 

1. Supervised Learning (지도 학습)

 - 정답인 데이터를 학습하여 입력값에 대한 정답 여부를 판별

 

2. Un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

 - 정답이 없는 데이터를 학습하여 입력값을 특정 그룹으로 분류

 

3. Semisupervised Learning (반지도 학습)

 - 정답이 있는 데이터와 없는 데이터를 같이 학습하여 입력값을 처리

 

sklearn 라이브러리에 있는 Regression 모델

  1. Lasso Regression(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2. Elastic Net Regression
  3. Kernel Ridge Regression
  4. Gradient Boosting Regression
반응형
반응형

Machine Learning(ML) 이란?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로 알파고에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알파고에 접목된 Machine Learning 또한 관심도가 높아졌다.

현재 AI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야로 한국어로는 기계 학습이라고 한다.

Machine learning(기계 학습)이 주목 받는 이유는 단 하나다.

AI분야에서 음성인식, 자연어 처리, 영상 처리 등 전반적인 부분에서 처리 및 인식 성능이 타 기술보다 높게 측정되었기 때문이다.

알파고가 보여준 엄청난 바둑 경기력은 바로 이 Machine Learning에서 비롯 되었다.

수천 수만개의 바둑 기보를 통해 학습한 기계 알파고를 인간 이세돌이 이기기는 쉽지 않았고 사람들은 알파고의 능력에 감탄하고 열광하면서

AI에 대한 기대가 커지게 된 것이다.


그럼 이 Machine Learning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 있을까?

충분한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만 있으면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된 모델을 통해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측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분류 또한 가능해 진다.

예로 들어 과거 기상 데이터를 학습하여 내일 또는 미래의 날씨를 예측하거나 스팸 메일 분류 같은 일까지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처럼 충분한 데이터 셋만 있다면 어느 분야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Machine Learning은 앞으로도 대체 가능한 방법이 나오지 않는다면 활발하게 연구 될 것이고 AI의 시대가 점점 더 가까워 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